조기은퇴 부부

은퇴에 필요한 돈은 얼마일까? 본문

조기은퇴(FIRE)

은퇴에 필요한 돈은 얼마일까?

딱빈 2020. 3. 13. 03:47

얼마나 더 모으면 은퇴할 수 있을지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을까요? 은퇴 후 먹고 살기에 충분한 돈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나 기준이 있을까요?

 

미국의 트리니티 연구(Trinity Study)는 4%의 법칙(the 4 percent rule)을 제시합니다.

4% 법칙이란, 총 은퇴자금의 4%만을 매년 인출해서 사용한다면, 은퇴 후 수입이 없어도 먹고 살 수 있다는 법칙인데요.

트리니티 연구의 기본전제는 첫째, 은퇴자금을 주식과 채권에 50:50 또는 75:25 등 비율로 투자하고, 둘째, 은퇴 후 어떠한 경제활동도 하지 않는 것입니다.

 

트리니티 대학의 교수들이 1925년부터 1995년까지의 미국 주식 및 채권 가격을 토대로 위 기간 중 어느 시점에 은퇴하더라도 4%의 법칙이 성립함을 입증해 낸 것이 바로 트리니티 연구입니다.

즉, 은퇴자금으로 10억을 모았다면 은퇴 후 4%인 4000만원을 매년 인출해서 쓰고 나머지 돈은 계속 주식과 채권에 분산투자 한다면 아무런 경제활동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트리니티 연구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먼저, 은퇴 후 사망까지 30년의 기간을 가정했다는 점입니다.

인간의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은퇴 후 30년 이상 사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위 연구는 한계를 갖습니다.

다만 은퇴 후 기간을 늘려 잡더라도 연구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있는데, 추가 연구를 통해 밝혀지길 기대합니다.

 

두 번째 한계는, 트리니티 연구는 미국의 연구 결과이기 때문에 미국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것을 전제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자산가격은 상당부분 연동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주식과 채권의 장기 수익률도 미국과 유사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트리니티 연구는 은퇴 후 경제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했는데요.

사실 은퇴 후에도 계속해서 어느 정도의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특히 최근 트렌드라 할 수 있는 파이어족의 경우, 많은 파이어족들이 조기은퇴 후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시작하는 등 경제활동을 지속합니다.

이러한 점은 역으로 은퇴자금을 불어나게 만들기 때문에 은퇴자금이 오랫동안 고갈되지 않게 돕습니다.

 

지금까지 은퇴에 필요한 돈이 얼마인지 계산하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트리니티 연구의 많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은퇴에 필요한 돈은 매년 지출액의 약 25배가 된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Comments